애드센스 승인의 기쁨도 잠시, 갑자기 구글 알림에 경고 문구가 뜨면 많이들 당황하실 텐데요, 오늘은 누구나 한 번은 경험한다는 ads.txt파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내 블로그에서 광고가 송출됨에도 불구하고, 어느 날 ads.txt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무서운 경고 문구를 보게 됩니다. 광고주를 위한 하나의 액션이라고도 하니 큰 걱정은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만, 그래도 우리의 소중한 블로그가 수익손실의 위협을 받을 수도 있으니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간단하고 쉽게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Google 애드센스 - 웹사이트에서 수익 창출하기
Google 애드센스의 웹사이트 수익 창출 기능을 사용하여 수익을 올려보세요. Google 애드센스에서 광고 크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광고의 노출 및 클릭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adsense.google.com
1. ads.txt 파일이란 무엇인가?
애드센스에서 공식적으로 승인을 받고 광고주의 요청을 받아 광고하는지, 신뢰도가 있는 판매자인지 확인해 주는 파일이므로, 애드센스 홈페이지 '사이트'에 승인된 ads.txt 파일이 있고, 그 파일 안에 게시자 ID(판매자인 나)가 있어야 정상적인 판매자로 간주됩니다. 즉, 애드센스를 속이고 가짜로 광고하는 것을 막기 위한 하나의 절차로 광고비가 잘못 지출되는 행위도 막음과 동시에 광고주의 수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.
2. ads.txt 파일 생성하기(메모장)
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하므로, 먼저 adx.txt 파일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.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파일이 생성된다고 하는데, 저는 그 버튼이 없어서 수동으로 파일을 만들었습니다.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를 접속하고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 선택, 아래 부분에 사이트 url의 내 도메인 이름을 클릭합니다,
내 도메인을 클릭하게 되면,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. 명확하게 'ads.txt를 찾을 수 없음' 문구가 보입니다. 아래의 코드(게시자 id가 포함된)를 복사합니다.
메모장을 엽니다. 복사한 코드를 붙여주고, 파일명을 'ads.txt'로 만들어 저장합니다.
3. 내 티스토리 블로그에 ads.txt 파일 업로드 해주기
내 티스토리 블로그로 와서, 꾸미기 '스킨편집' -> 스킨편집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HTML편집을 클릭합니다.
상단의 '파일업로드'를 클릭하고, 맨 하단에 +추가 버튼 클릭 후, 저장해 둔 ads.txt 파일을 업로드해 주면 됩니다.
4. 판매자 정보 공개 설정
다시, 애드센스 홈페이지로 와서 계정->설정->계정정보 클릭, 판매자 정보 공개 상태를 공개로 설정해 주고, 비즈니스 도메인을 tistory.com을 적어줍니다.
아래와 같이 저는 이틀 만에 정상적으로 승인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여러분도 겁먹지 마시고 간단한 방법으로 따라 하시면 금방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.
'雜多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피 품종의 종류 (0) | 2023.05.15 |
---|---|
다가오는 여름, 우리집 전기세 절감하는 방법 (0) | 2023.04.03 |
댓글